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8

[Gradle] Kotlin DSL 과 buildSrc 를 통한 버전 관리 Gradle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Groovy 언어로 많이 작성을 했었는데, Kotlin 으로도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buildSrc 모듈을 활용해서 버전 관리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같이 정리하려고 한다. Gradle 빌드 스크립트 Gradle 은 빌드 스크립트 작성을 위해 Groovy 기반 또는 Kotlin 기반의 DSL (Domain-Specific Language) 을 지원한다. Gradle 5.0 버전부터 지원한다. (릴리즈 노트) DSL 이란 "도메인 전용 언어"로써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코드의 내부 로직을 숨기고 재사용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Kotlin DSL vs. Groovy DSL Kotlin DSL 은 Gro.. 2023. 2. 20.
[회고] 신입 개발자의 성장기 - 쿠팡에서의 3년 2021년 12월에 광운대학교 박규동 교수님의 "웹서비스 설계 및 구현" 수업에서 "신입 개발자의 성장기 - 쿠팡에서의 3년" 이라는 주제로 비대면 온라인 특강 세미나를 약 1시간동안 진행했습니다. 쿠팡과 소속 팀이었던 리테일 시스템즈 엔지니어링 팀에 대한 소개를 진행했고, 주니어 개발자로 겪었던 시행착오와 다양한 경험들을 대학생들에게 최대한 많이 전달해주고자 했습니다. 발표 자료 세미나에 대한 소감문 세미나 이후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소감문을 전달받았습니다. 현업자의 시선에서 공부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셔서 직접적으로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현재 인턴으로 근무하 면서 현업과 학과 공부 사이의 연결점에 대해 고민 중이었는데, 연사님이 말씀하신 토이 프로젝트에서 실마리 를 찾은 것 같다 2023. 2. 17.
[Gradle] Build Lifecycle Gradle 이 빌드되는 과정이 궁금하여 찾아보던 중 공식 문서를 접하게 되었고 번역을 해두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들어가며 Gradle 은 tasks 와 tasks 간 의존성을 정의하는 의존 기반 프로그래밍 (dependency based programming) 의 예시이다. Gradle 은 작성된 빌드 스크립트와 플러그인의 의존성들이 서로 순서에 맞게 실행되도록 보장한다. Gradle is an example of dependency based programming: you define tasks and dependencies between tasks. Gradle guarantees that these tasks execute in the order of their dependencies. Yo.. 2023. 2. 16.
[스프링] @CircuitBreaker 적용하기 MSA 환경에서는 작은 규모의 서비스가 상호작용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환경에서 하나의 서비스가 장애가 나 서비스가 중단되면 다른 서비스들로 그 장애가 전파될 수 있다. 장애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서킷 브레이커" 이다. "서킷 브레이커" 라는 용어는 원래 전기 회로에서 과열된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의미하는데, 보통 주식에서 많이 접한다. 주가가 특정 % 이상 급락하는 경우 발동하며 매매를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제도이다. 마찬가지로 MSA 환경에서의 서킷 브레이커는 발생한 장애를 다른 서비스로 전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라고 보면 된다. 서킷 브레이커 종류 Netflix Hystrix. 넷플릭스에서 만든 서킷 브레이커로 SpringBoot 2.4.. 2023. 2. 16.
[프로젝트, 연구] 가상 버튼의 크기, 폭, 동작 방법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12.
[프로젝트, 쿠팡] 리테일 상품 카탈로그 관리 시스템 개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12.
[프로젝트, 쿠팡] 이상 가격 탐지 서비스 개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12.
[프로젝트, 쿠팡] 대규모 서비스 분리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12.
반응형